일본어 이모저모 5부(大和言葉): 麗らか(うららか)
안녕하십니까, 여러분 K D입니다. 오늘도 새로운 포스팅으로 찾아뵙게 되었네요.
오늘의 주제는 아름다운 형용사, 麗らか(うららか)를 준비했습니다.
기본적인 의미부터 알아보도록 합시다.
사전에 검색해보시면, '화창한, 명랑한 모양, 상태'라고 나옵니다.
위 이미지와 같은 느낌을 떠올리셨을까 해서 첨부했습니다.
일단 麗らか에 사용된 한자는 麗(고울, 화창할 려)입니다. 綺麗(きれい)에도 사용되는 한자이죠.
자 그럼 이 한자로 구성되는 麗らか(うららか)의 어원을 살펴보시죠.
◆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먼저 うららか는 うらら에 접미어 か가 붙어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그러고 うらら의 어원은 うらうら입니다.
うらうら의 어원에 관해서는 기록이 존재합니다.
에도시대의 국학자, 大石千引(おおいし ちびき)에 의해서 쓰여진 『言元梯(げんげんてい)』에 따르면 うらうら는 ゆらゆら라는 단어에서 전( 転)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ゆらゆら는 " 가벼운 것이 천천히 흔들리는 모양"을 의미합니다.
한국어로 하면 " 하늘하늘, 한들한들, 흔들흔들" 정도가 되겠네요.
이 외에도, うらうら가 사용되던 옛날에는 うら(心)라고 표기하고 '마음'이라는 뜻으로 쓰였다고 합니다.
현재의 こころ(心)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겠네요.
이러한 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うら(心)가 のどか(長閑)(화창한, 마음이 평온한 모양이나 상태)의 의미를 나타내게 되었고, 이후 うらうらーうららーうららか의 순으로 변화되어서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어떠셨나요?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나요?
포스팅이 마음에 드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