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여러분 K D입니다. 오늘도 새로운 포스팅으로 찾아뵙게 되었네요.
이번 주제는 해와 달, 日(ひ、にち、じつ)、月(つき)입니다.
이전 포스팅과 마찬가지로 기초단어들이지만 어원을 잘 모르는 단어들로 선정했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시죠.
◆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日(ひ、にち、じつ)입니다.
본래는 太陽(たいよう), 태양을 뜻하는 단어지만, 태양이 뜨고 지는 것에서 一日(いちにち), 하루를 나타내는 단어의 의미로 더 많이 쓰이는 단이입니다.
태양 자체가 활활 불타는 것이기 때문에, 日(ひ)의 어원은 火(ひ)로 일반적으로는 여겨지고 있습니다만,
上代特集仮名遣い(じょうだいとくしゅうかなずかい),
상대 특수 가나 표기법( 가나가 개발되기 이전인 奈良時代、나라시대에는 万葉仮名(まんようがな), 만요가나라는, 한자로 가나를 표기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 이때 각 가나에 해당되는 한자의 사용법 규정집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에 日와 火의 ひ가 서로 다른 항목에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별개의 어원을 가졌다는 설도 있습니다.
日를 ひ라고 읽는 것 이외에 にち라고 읽는 것은 오음(呉音)(5~6세기 남북조시대 양쯔강 하류지역에서 일본으로 전래되었다고 여겨지는 한자음)이고
じつ라고 읽는 것은 한음(漢音)(7세기에서 9세기 수,당시기에 견수사, 견당사나 유학승 등에 의해서 일본에 전해진 한자음)이라고 합니다.
다음은 月(つき、がつ、げつ)입니다.
태양이 지고 바로 이어서 나타나는 달을 보고, 곧바로 이어진다는 의미의 次(つぐ、つぎ)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이외에도 한달에 한번 달이 빛을 완전히 잃는다는 뜻의 尽き(つき)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는데,
예전부터 달은 신앙의 대상이었고, 특히 보름달이 가장 신성하게 여겨졌던 것에서 미루어 보면 이 설은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외의 がつ、げつ는 날짜( ex: 한 달, 지난 달)를 나타낼때 사용되는 어휘로써, 月라는 동일한 한자로 표기되지만 서로 쓰임새가 다른 별개의 단어입니다.
어떠셨나요?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을 마칩니다.
'일본어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 이모저모 10부(大和言葉): 弟(おとうと)、妹(いもうと) (0) | 2020.08.11 |
---|---|
일본어 이모저모 9부(大和言葉): 男(おとこ)、女(おんな) (0) | 2020.08.11 |
일본어 이모저모 7부(大和言葉): 春(はる)、夏(なつ)、秋(あき)、冬(ふゆ) (0) | 2020.08.09 |
일본어 이모저모 6부(大和言葉): おもてなし (0) | 2020.08.09 |
일본어 이모저모 5부(大和言葉): 麗らか(うららか) (0) | 2020.08.08 |